Press Release

주한독일상공회의소, ‘2024 한-독 해상풍력 비즈니스 포럼’ 개최

14/10/2024

주한독일상공회의소, ‘2024 한-독 해상풍력 비즈니스 포럼’ 개최

© (C) GRAPHOS AII Right Reserved

(2024년 10월 14일) 주한독일상공회의소 (KGCCI, 대표 마틴 행켈만)과 주한독일대사관, 한-독 에너지파트너십이 공동 주관하고 RWE, BayWa r.e., TÜV SÜD, MR, Skyborn Renewables, 지멘스 에너지가 후원한 ‘2024 한-독 해상풍력 비즈니스 포럼’을 포시즌스 호텔 서에서 지난 11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미래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해상풍력 분야에서 한국과 독일 간 비즈니스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와 산업 리더십을 통한 해상 풍력 확장”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마틴 헹켈만 KGCCI 대표, 게오르트 슈미트 주한독일대사, 정경록 한국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 정책국장, 크리스찬 포르윅 독일연방경제기후보호부 외부경제정책 국장 등 한-독 에너지 분야 주요 정재계 인사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정경록 국장은 축사에서 “해상 풍력은 기후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오늘 한-독 해상풍력 비즈니스 포럼을 계기로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공조가 더욱 강화되어 탄소중립 이행에 기여해 나가기를 기대한다”며, 해상풍력과 그 확장을 위한 양국간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크리스찬 포르윅 국장은 영상 축사를 통해 “지구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것이 시급하다. 최근 독일의 성공적인 해상 풍력 경매와 야심 찬 해상풍력 확장 목표를 고려하면 2045년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고자 하는 독일의 기후 전략에서 해상풍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이에 대한 한국과 독일 간 협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정부 주도 해상 풍력 전략의 도전 과제와 기회해상 풍력이 한국에 가져다줄 수 있는 혜택은 무엇인가? 총 두 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이어서 “그리드 인프라가 한국의 해상 풍력 목표 달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토론세션이 이어졌다. 특히 이번 패널 토론에 노르만 룬케 독일연방경제기후보호부 해상풍력에너지부 정책담당관, 김주진 사단법인 기후솔루션 대표, 귀엔 림 도이치은행 아시아태평양 자연자원그룹 이사, 데이비드 존스 RWE 리뷰어블즈 코리아 지사장, 유병철 인천광역시 에너지산업과 해상풍력팀장, 김승완 사단법인 넥스트 대표, 김지언 TÜV SÜD Korea 산업서비스 본부 상무, 이응석 Skyborn Renewables Korea 대표, 금윤섭 BayWa r.e. Korea 본부장, 양연빈 한국 에너지경제연구원(KEEI) 에너지국제협력센터 에너지협력전략연구팀 부연구위원, 김상훈 대한전선 해저사업지원 팀장, 김양기 RWE Supply & Trading GmbH 공급매니저, 김종화 영인에너지솔루션 신성장 및 글로벌 비즈니스 부문 사장, 정훈 국회미래연구원 혁신성장그룹 연구위원, 전경식 지멘스 에너지 그리드 테크놀로지 상무, 김희집 ENERIDEA 대표, 이성규 한국전력공사 전력계통본부 재생에너지대책실장 등 산업 리더들과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해 각자의 경험과 통찰을 나누며 심도 있는 논의를 펼쳤다.

데이비드 존스 RWE 리뷰어블즈 코리아 지사장은 “한국 정부는 녹색 투자 인센티브를 강화해 시장 참여도를 늘리는 등 지속 가능한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해야 한다. 국회에서 해상풍력 특별법이 통과된다면 한국은 해상풍력 시장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탄소화 속도를 가속화하며 수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며 해상 풍력 에너지의 성장을 촉진하는 데 있어 정부 및 정책의 역할에 대해 강조했다. 이어 “해상풍력은 재생 에너지로써 지속 가능한 미래와 기후변화 대응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정지희 한-독 에너지파트너십 한국사무국장 겸 KGCCI 부이사는 “독일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민간 기업이 부지를 선정해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하는 시스템을 운영했으나, 2017년부터 중앙집권적 정부 주도 방식으로 바뀌었다. 오늘 포럼에서 독일 정부가 그 경험을 공유하고 통찰력을 제공했다. 주한독일상공회의소는 이러한 전환 과정에서 양국 간 교류를 계속해서 지원하고자 한다“고 밝혔다.